#수술용어#의학용어#질병과이해 7

수술실 타임아웃(time-out)과 사인아웃(sign-out)은 무엇일까요? : 환자안전을 위한 체크

의료인들에게 환자안전은 필수불가결입니다. 첫째도 안전, 둘째도 안전이지요.수술실도 물론! 환자안전이 매우매우 중요합니다. 그런데 수술실에서는 환자안전을 어떻게 할까요?오늘은 의료진들이 수술실에서 환자안전을 위해서 하는 행위중,필수로 하고 있는 수술전,후 타임아웃(Time-out)과 사인아웃(sign-out)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1. 타임아웃(Time-out)은 무엇일까요?타임아웃이란 수술 시작 직전, 수술에 참여하는 모든 의료진들이 환자의 정보와 수술 내용을 함께 확인하는 절차입니다.타임아웃의 항목과 내용은 각 병원의 수술실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큰 틀은 같습니다.중요한것은, 환자확인을 하기 위해서는 모두가 하던일을 멈추고, 집중해서, 타임아웃에 함께 참여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2. 타임아웃에서 확인..

수술실에서 자주 듣는 줄임말, 이건 꼭 알아야 해요

수술실에 처음 배정 된 후, 낯선 장비보다 먼저 당황하게 되는 것이 있습니다.바로, 수술실 안에서의 의료진들끼리 오가는 대화들 중에 줄임말 들 입니다. 처음에는 줄임말을 이해하는데 시간이 좀 걸리지만,익숙해지면 수술실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읽을 수 있게 됩니다. 오늘은 수술실에서 실제로 자주 사용하는 줄임말을 정리해보겠습니다.1. 수술 관련 줄임말GAGeneral Anesthesia전신마취SpinalSpinal Anesthesia척추마취LocalLocal Anesthesia국소마취SatuOxygen Saturation산소포화도 BPBlood Pressure혈압 2. 수술명 줄임말L.ALaparoscopic Appendectomy복강경 충수절제술L.CLaparoscopic Cholecystectomy복강경 ..

수술 전, 꼭 알아야 할 간호사의 말 – 환자분들이 놓치기 쉬운 6가지

수술을 앞둔 환자는 대부분 긴장한 상태입니다.간호사가 무슨 말을 해도, 의사가 설명을 해도그 말이 귀에 잘 들어오지 않고, 오히려 불안만 커지는 경우도 많습니다.그럴 때 필요한 건📌 조금 더 천천히, 쉽게, 반복해서 설명해주는 말입니다.오늘은 수술 전에 간호사들이 자주 사용하는 용어 중,환자분들이 반드시 알고 계셔야 할 6가지 핵심 내용을 소개합니다.1. NPO (금식)“진짜 아무것도 드시면 안 돼요. 물도 안 됩니다!”의미: ‘Nothing Per Os’, 입을 통한 모든 섭취 금지수술 6~8시간 전부터 금식 (물, 껌, 커피 포함)흡인성 폐렴 예방을 위한 중요한 절차전신마취 시 위장 운동이 멈추며 역류 위험이 높아짐 2. 수술 동의서 확인수술을 받을지 말지는 ‘본인의 선택’입니다.환자의 자율적 동의..

근골격계 기본적인 해부생리 와 구조 및 기능 I 용어

1.근골격계의 해부와 생리 (1) 골격 (2) 뼈 (3) 위치와 용어 2. 근골격계의 구조 및 기능 (1) 근육의 동작 (2) 각 관절의 주요 운동과 기능 1. 근골격계의 해부와 생리(1) 골격 인체의 뼈는 206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몇 개의 뼈가 모여서 하나의 기능적 단위를 형성하는 골격(skeleton)들이 계통을 이루어 골격계를 구성합니다. 인체의 골격은 위치에 따라서 체간골격(axial skelston)과 체지골격(appendicular skelston)으로 구분됩니다. 체간골격 (80개의 뼈)체지골격 (126개의 뼈)두개골 (22개) 설골(1개) 이소골(6개) 척추(26개) 흉골(1개) 늑골(24개)상지골(64개) 하지골(62개) (2) 뼈 뼈조직은 세포성분과 기질..

뇌질환 종류 (뇌혈관 질환 I 치매 질환 I 신경계 질환) 에 대해서, 신경외과

1. 뇌혈관 질환 (1)뇌경색 (2) 뇌출혈 2. 치매 질환 (1)뇌혈관 치매 (2) 알츠하이머 치매 3. 신경계 질환 (1) 파킨슨병 (2) 근위축측상경화증(루게릭병) (3) 다발성경화증 1. 뇌혈관 질환 뇌혈관 질환은 뇌졸중이라고 합니다. 뇌졸중은 뇌출혈, 뇌경색 을 합쳐서 일컫습니다. (1) 뇌경색 (cerebral infarction) 정의 : 뇌의 혈관이 막히는 질환입니다. 어느 혈관이 막혔느냐에 따라서 기능에 장애가 일어납니다. 증상 : 편마비, 의식장애, 국소적인 신경증상이 발생합니다. (비교: 뇌출혈에 비하여 두통과 구토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치료 : 발병 된 후 48시간 이내에 혈전용해제를 투여합니다. 만성인 경우에는 재발 예방의 목적으로 항혈소판제나 항응고제를 투여합니다. (2) 뇌출..

뇌, 신경계 기본적인 해부와 부위 별 기능 I 이상 징후 (1), 신경외과

1. 뇌, 신경계의 해부생리 (1) 뇌신경 (2) 척수신경 (3) 자율신경 2. 뇌의 각 부위별 기능 3. 이상징후 (1) 의식장애 (2) 실어증,실인증,실독증 (3) 뇌압상승으로 인한 징후 (4) 경련 (5) 뇌사 1. 뇌, 신경계의 해부생리 신경계는 크게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로 나누어집니다. (1) 뇌신경 뇌신경은 두경부의 근육, 피부, 특수감각기에 분포되어 있습니다. 총 12쌍으로 되어 있으므로 각 신경들은 이름이 있으며 그 신경들에 장애가 생겼을 때에 증상들이 나타납니다. 뇌신경의 종류 장애가 생겼을 때에 증상 제1신경 (후각신경) 후각장애 제2신경 (시각신경) 시력장애 제3신경 (동안신경) 복시, 내전 장애, 안검하수, 조절장애, 산동, 대광반사 소실 제4신경 (활차신경) 상사근의 장애 (하방..

무릎 골 관절염, 연골 연화증에 대해서 (knee arthritis)

저는 20대에 스쿼트 운동을 올바르지 않은 자세로 하다가 무릎 연골연화증으로 고생을 했습니다. 지금도 무리를 하면 무릎에 통증이 있어 휴식과 운동을 반복하며 지내고 있는데요. 무릎 연골연화증, 무릎 골 관절염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무릎 골 관절염의 정의 2. 무릎 골 관절염의 원인과 증상 3. 무릎 골 관절염의 진단과 치료 4. 무릎 골 관절염 예방 및 회복 1. 무릎 골 관절염의 정의 무릎 골 관절염은 무릎 관절 부위에서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을 말합니다. 관절을 보호하고 있는 연골의 손상, 퇴행성 변화로 인해 관절을 이루는 뼈, 인대 등에 손상이 일어나서 염증과 통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퇴행성 관절염이라고도 말합니다. 정상 관절은 뼈의 끝에 단단하고 탄력 있는 물질인 연골로 씌워져 있습니..